2015년 7월 26일 일요일 서울시민예술대학 - 글쓰기① 참가자 후기 서로의 의견을 들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원래 웃음이 많은데, 일주일 동안 웃어야 하는 양이 있잖아요. 주말에 에너지를 다 소비해버려서 좋은 수업이었는데도 많이 웃질 못했습니다. 스스로 벽을 만든 것 같아서 죄송하다는 생각도 드네요. 다음부터는 꼭 웃으며 등장하겠습니다 (웃음) - 수업 중에 그림을 보고 사실을 표현하는 게 특히 재미있었어요. 글을 쓰면서 내가 느낌을 더 중요하게 표현하는 사람이구나 알게 되었고 보고싶은 것만 보는 점에 대해 알 수 있었어요. 내가 못 보는 것을 남이 발견해줌으로써 나눔의 소중함 또한 알게 되었습니다. 음악을 들을 때 상상이 잘 안되고 집중에 대해 생각했어요. 글쓰고 줄 긋고 글쓰고 줄 긋고를 반복..
7월 12일 일요일 13:00-16:00 희곡에 대한 이론과 사례 제시를 통한 예술적 기반지식을 확보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믿고 듣는 강석호 작가님이 강의를 이끌어주셨습니다! 예술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끊임없이 상상할 수 있도록 머릿속에 커다란 도화지를 선물 받은 것 같습니다 :) 상상만하면 이룰 수 있다는 자신감 충전! 예술에 정답은 없다! 무대란, 무엇이든 가능한 곳이다! 희곡은 반드시 무대 위에서 재현되어야 한다! 수강생 후기 : http://cafe.naver.com/actionmasknaver/6792 언제나 뜨거운 열정으로 기억에, 가슴에 남는 강의 감사합니다 ♥
쉽게 쓰는 창작 희곡의 비밀 회차 프로그램 1 우리가 하고자 하는 희곡, 연극,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가에게 절대 양보 할 수 없는 단하나의 것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2 연극이 탄생하고 되는 공간 무대는 어떤 공간인가?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는가? 극! 도대체 극이란 무엇인가? 희곡의 기초 단막극에 대한 이해. 단막극을 쓰고 공부해야 하는 이유. 3 좋은 희곡을 쓰기위한, 좋은 희곡에 필요한, 좋은 희곡이기 위해 있어야할 3가지 원칙. 4 짧은 단막극을 써보기 위한 소재와 인물 찾아보기. 5 희곡안에서 벌어지는 사건, 인물의 전사, 극적 리얼리티, 관객의 호흡과 함께하는 템포 반드시 알아야하는데 모르고 있는 저작권에 대한 이해 6 단막형식의 극을 쓰기위한 줄거리 만들기. 7 희곡이라 부를 수 있..
- Total
- 73,941
- Today
- 12
- Yesterday
- 26
- 토요문화학교
- 공연
- 마을축제
- 청소년
- 연극
- 무료
- 서울문화재단
- 삶을 예술로 풀어내다
- 배우
- 어린이
- 예술교육
- 극작
- 뮤지컬
- 연기
- 예술
- 사당동
- 아시아의 영웅들
- 여세진
- 인형극
- 영화
- 창작
- 마을이야기공장
- 꿈다락
- 서울시민예술대학
- 문화놀이터 액션가면
- 보컬
- 문화놀이터
- 노래
- 액션가면
- 디다스칼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