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다게레오타이프 daguerreotype
은, 또는 은도금 동판에 보존된 사진적인 이미지들. 니세포어 니엡스 Nicephore Ni pce 와 루이 다게르 Louis Daguerre 에 의해 실현을 보았다. 다게르는 1839년 1월 파리에서 다게레오타이프의 실례들을 공개적으로 전시했는데, 이것이 정사진의 도래를 알리는 신호였다. 정사진의 발전은 영화로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한 걸음을 의미했다.
다다 dada
1916년 스위스의 취리히에서 시작된 문학예술 운동. '다다'는 지시적 용어로서는 아무런 논리적 의미를 갖지 않는다. 이 유파가 내건 목표는, 표현이라는 행위에 대해 한층 장난스럽고 '우연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계획된 조정과 창조성 사이의 전통적인 관계를 부정하는 것이었다. 다다이스트들은 큐비즘, 종이 콜라주, 그리고 공장에서 생산된 물건들('레디-메이드')을 예술품으로 전시하는 행위 등 당대의 다른 운동들을 도입하기도 했다. 이 유파는 전 세계의 진보적인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끼쳤고 1920년대의 전위 예술에서 나온 초현실주의로의 징검다리 역할을 했다. 1920년대에 프랑스에서 활동했던 만 레이 Man Ray 는 '다다이스트 영화감독'으로 자주 언급된다. 레이는 감광 유제 위에 다른 재료들을 올리고 현상 결과에 상관없이 필름을 영사해서 콜라주 기법을 영화에 도입했다. <이성으로의 회귀 Le Retour la Raison>(1923) (사진 6)나 <에막 바키아 Emak Bakia>(1927) 같은 영화가 대표적인 예이다. 르네 끌레르가 초기에 제작한 자유분방하고 리드미컬한 영화들도 ― <잠자는 파리 Paris qui dort>(1923)와 같은 ―다다 운동의 유희적 관심에 자극받은 것이었다.
다중 스크린 영사 multi screen projection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이미지들을 둘 이상의 스크린에 영사하여 보여 주는 것. <나폴레옹 Napoleon>(1927)의 마지막 시퀀스에서 아벨 강스 Abel Gance 는 동시에 작동하게끔 만든 싱크 모터에 연결한 세 개의 영사기와 세 개의 스크린을 써서 엄청나게 광활한 파노라마식의 조망을 만들었다 (사진 7). 강스는 자신의 삼중 스크린 효과를 '폴리비전'이라고 불렀다. 실험적 다중 스크린 상영은 오락 시설이나 확대 영화에서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들은 각각 신기함과 혁신적인 시각 체험을 목적으로 한다.
다중 이미지 쇼트 multiple-image shot
따로 촬영된 둘 이상의 이미지들을 단일한 프레임 속에 포함하는 쇼트. 대부분의 다중 이미지 쇼트들은 합성 화면이나 분리 화면 기법과 같은 중간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다. 다중 이미지 쇼트의 사용은 동시적 동작이나 시각적 정보의 몇 개의 상이한 조각들을 보여 주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 <토마스 크라운 어페어 The Thomas Crown Affair>(1968)가 좋은 예이다 (사진 8). 다중 이미지 기법은 실험 영화감독들에게 널리 쓰이는 장치이며 ― (1957) ― 광고 영화 제작에도 많이 이용된다.
다큐드라마 docudrama
역사적 사건을 다소 허구적인 방식으로 설명하는 텔레비전용 프로그램들에 주로 붙이는 명칭이다. <10월의 미사일 The Missiles of October>(1974)은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시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행적에 기초한 드라마였고 <프랭클린과 엘리노어 : 백악관 시절 Franklin and Eleanor : The White House Years>(1976)은 프랭클린의 대통령 재임 시기 동안 루즈벨트 내외의 사적인 관계를 극화하여 설명한 작품으로, 이들은 텔레비전 다큐드라마의 표본이다. 다큐드라마는 이미 익숙한 사건이나 사람들에 초점을 맞춘 소재를 사용하여 다큐멘터리의 관심사와 호소를 드라마의 구조와 결합시키고자 한다. 다큐드라마의 선례는 물론 영화사를 통해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1930년대의 수많은 전기 영화 ― <루이 파스퇴르 이야기 The Story of Louis Pasteur>(1936) 등 ― 라든가 1940년대 후반에 인기 있었던 세미다큐멘터리들 ― 엘리아 카잔의 <부머랭 Boomerang>(1947) 등 ― 그리고 가깝게는 워터게이트 사건과 관련된 <대통령의 사람들 All the President's Men>(1975) 따위가 그것이다.
다큐멘터리 documentary
논픽션 영화. 다큐멘터리들은 보통 현지에서 촬영된다. 배우보다는 실제 인물이 출연하며 역사, 과학, 사회, 또는 환경에 대한 문제에 주제 중심으로 초점을 맞춘다. 다큐멘터리의 주요한 목적은 계몽하고 정보를 전달하고 설득하며,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것이다. '세계 다큐멘터리 협회 The World Union of Documentary'는 다큐멘터리 영화 장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 바 있다. 다큐멘터리 영화라는 말은, 실제 촬영 혹은 성실하고 정당한 연출(재현)에 의해 현실의 어떤 측면을 셀룰로이드에 기록하는 모든 방법론을 의미한다. 이때의 목적은, 인간의 지식과 이해를 증대하고 그에 대한 열망을 자극하기 위해 이성이나 감성에 호소하는 것이며, 한편으로는 경제, 문화, 인간관계 제 분야에 나타나는 문제점들과 그것의 해결책을 진실하게 제기하는 것이다. 통합된 주제를 지닌 뉴스릴 에세이와 정보 영화도 다큐멘터리 영화의 일종으로 분류될 때가 있다. 많은 경우, 다큐멘터리는 감독이 자료를 편집 배열함으로써 해석을 가한 물리적 현실의 기록이다. 존 그리어슨 John Grierson 의 표현을 빌면 '현실성의 창조적 가공'이다. 초기의 중요한 창의적 다큐멘터리 감독 가운데 <북극의 나누크 Nanook of the North>(1922) (사진 9)를 만든 로버트 플래허티 Robert Flaherty 와 <강 The River>(1937)을 만든 파레 로렌츠 Pare Lorentz 가 있다. 플래허티의 영화들은 자연과 대결하며 생활하는 인간을 다루었다. 로렌츠의 <강>과 <평원을 간 쟁기 The Plow That Broke the Plains>(1936)는 30년대의 환경 문제에 관한 사회적 설득을 목표한 시적인 영화들이었다. 이 영화들은 전통적 다큐멘터리의 형태를 확립했다. 최근 들어서는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문화놀이터 액션가면은 > 문화예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대감독 점검표 (Check List / 분야별) 4 (0) | 2015.04.17 |
---|---|
영화 용어 사전 3 (0) | 2015.04.17 |
영화 용어 사전 1 (0) | 2015.04.17 |
무대감독 점검표 (Check List) 양식 3 (0) | 2015.04.17 |
무대감독 점검표 (Check List) 양식 2 (0) | 2015.04.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청소년
- 여세진
- 어린이
- 노래
- 문화놀이터 액션가면
- 서울문화재단
- 보컬
- 서울시민예술대학
- 꿈다락
- 연기
- 아시아의 영웅들
- 예술교육
- 창작
- 공연
- 마을축제
- 뮤지컬
- 디다스칼로스
- 예술
- 액션가면
- 배우
- 무료
- 마을이야기공장
- 영화
- 사당동
- 삶을 예술로 풀어내다
- 연극
- 토요문화학교
- 문화놀이터
- 극작
- 인형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