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션에서는 전진석 작가님과 함께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캐릭터 창조기법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재미삼아 해봤던 성격테스트 정도로 생각했는데 이런 심도깊은 매력이 있는 분야인줄 몰랐습니다. 꺄 중독성 짱! 재미 짱! 작가님의 열정 짱짱! 1강 요약 0. 앱스토어에서 '성격공유기' 앱을 다운 받아서 에니어그램으로 자신의 성격이 몇번에 해당하는지 확인 1. 에니어그램은 현대 심리학 발달 이전의 유사 심리학으로 직관적인 성격평가도구. 성격을 나누는 것이지 인격을 나누는 것이 아님으로 타락했는지, 병리적 문제가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아님 2. 극중에서는 평범한 인물 보다는 명확하고 입체적인 캐릭터가 필요. 에니어그램 유형분석으로 캐릭터 창조 (미드 작가들의 경우 주제별로 작가들이 달라, 캐릭터의 통일성을 위해 21세..
움직임의 주체로써 굵은 선, 각진 길, 회전과 순간적인 시작과 멈춤 등 다양한 변신을 시도해봤습니다.날씨 덕분인지 굵은 땀줄기가 멈출줄 모르고 흐르더군요. 꿀 다이어트♡ 주체 변화를 통한 움직임 구성을 만들어봤어요.모호하게 들렸던 움직임에 대한 지시들이 모여 하나의 안무처럼 하나의 극처럼 보여지기도 했답니다.아무 재료가 없는 상태에서 즉흥을 주문했다면 꼼짝하기 어려웠을테지만 우리에게는 그동안 많은 움직임 코드가 쌓였답니다. 아무도 모르게, 우리 자신도 모르게 이어 작품의 진화과정을 거쳤습니다.외딴 섬에서 시도하는 탈출, 신화로 거듭난 나의 이야기, 상처로 남은 실제경험을 복수의 플롯을 통해 극복하는 이야기도 있었죠. 글쓰기가 끝나도 배우연출, 무대연출 과정을 통해 이야기는 또 다른 주제 혹은 또 다른 결..
이 날은 안경모 연출님이 컨설팅을 하러 교육장에 방문하신 날입죠.보통은 강사도 학습자도 조금 긴장하는 날인데 (시험보는 것도 아닌데)역시나 이번 디다스칼로스들은 컨설턴트가 있던지 말던지 높은 집중력을 보여주셨습니다 ㅎ 움직임으로 수업을 열었어요.정시에 수업을 시작하려니 지각자가 많아서 좀 아쉬웠지만시간약속에 대한 부분도 차차 나아지겠죠!우리가 느리게 친해진 것 처럼 :) 그리고 열심히 숙제해주신 분들을 선두로 하여자기가 쓴 글을 발표하고 오픈된 형태로 서로에게 피드백을 전달하는 시간을 갖었어요.여러 사람의 생각이 더해지니 더 풍성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이야기들은 그렇게 작가의 경험과 함께하는 사람들의 상상으로 숨을 입기 시작합니다. 매 주 새글을 써내는 분들도 계시죠 ㅎㅎ무엇보다 자신..
2016년 6월 19일(일) 내면의 이야기를 꺼내기에 앞서 껍데기를 야들야들하게 만드는 시간을 갖습니다. 왠지 움직임만으로 3시간을 꽉 채우고 싶은 기분이 들 정도로 재미있었습니다 ㅋㅋ 우리 드디어 마음의 문이 열린걸까요? 미션은 복불복으로 제비뽑기를 통해 얻은 단어를 단체인접으로 표현하는 것이었어요! 사진들을 보면 아시겠지만 우리는 잠깐 어린이처럼 신났었지요! ㅋㅋ문득 생각지도 못한 아이디어가 튀어나올 때나 엑스맨으로 의심되는 사람이 발견되었을 때도 그저♡ 어제 못 오신 분들은 사진들을 보면서 뭘 표현하려한 것인지 예상해보세요! 그게 무엇이든 다 땡일거예요 ㅋㅋㅋㅋㅋ (사진으로 보니 더 어렵네요ㅋ) 그리고 마무리 몸풀기로 호흡이 가빠지는 활동을 했는데요. 역시나 올해 시민대학의 에너지는 여성분들이 주름..
모르겠어요. 아마도 우린 시작부터 당신이 어떤 술을 가져왔는지, 어떤 음식을 가져왔는지에 정신이 새고 있었는지도.. 그래도 우리는 그렇지 않은 척 밀린 숙제를 합니다. 2주 내내 고민해왔던 것 처럼 초몰입의 자세로.. 이 날 가장 중요한 이야기는 화소 였어요.한 편의 완전한 이야기[說話形]를 만들어 주며, 전승하는 힘을 가진 가장 짧은 내용의 이야기 알맹이라고 할 수 있죠. 화소(話素)는 일반적으로 모티프(motif)의 번역어로 사용된다. 톰슨(S. Thompson)은 모티프를 이렇게 정의하였다. “모티프는 설화에서 전승하는 힘을 가진 최소의 요소이다. 이 전승력을 갖기 위하여 비상(非常)하고도 눈을 끄는 그 무엇이 있어야 한다. 설화 중의 인물인 행위자(行爲者, actors), 어떤 사항(事項, cer..
돌 진흙 떨어지는 낙엽 회오리 전기 진흙 우리가 나아가는 길이 얼마나 심난하고 고통스러운지 몸소 억지로 견디다가 길 끝에 도달했을 때 느껴지는 개운함으로 또 그 호랑이처럼 꽁무니를 쫓아오던 고통을 잊어버리기도 하지요. 다람쥐 쳇바퀴 돌듯이 한 곳에 머물러있었던 것 같은데 돌아보면 우리는 늘 저만치 가 있기도 하지요. 즉흥이라는 것, 현재를 느끼고 살아간다는 게 그래요. 가장 자연스러운 일과 우리는 왜 이렇게 멀어져있었던 걸까요? 영웅, 트릭스터 그리고 길 떠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했어요. 짧은 트릭스터 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특징과 위기상황을 알아보고 위기를 극복하는 방식에 대해 영웅의 선택과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는 시간이었죠. 트릭스터는 때론 너무 영리한 사기꾼이고 배짱있고 위트있는 이 시대의 영..
아시아의 영웅들 자, 이제부터 신화 속 영웅들을 수집한다! 우리들의 아시아 창작신화의 특별한 재료로 쓰일거랍니다 :D 이번엔 배우분들이 버젼 up 해서 다양한 소품과 악기를 활용한 입체적인 낭독극을 들려주셨어요! 그 첫번째 이야기는 제주도 설화인 설문대 할망입니다. 아주 먼 옛날 태초에 땅도 하늘도 없던 시절 키가 엄청나게 크고 힘이 센 설문대 할망이 혼자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은 할망이 방귀를 뿡 뀌고 손으로 휘휘 저었는데 연기가 여기저기로 흩어지더니 하늘과 땅, 그리고 바다가 만들어지고 땅 위에 작은 동물들과 사람들이 생겨났답니다. 설문대 할망은 하늘과 땅, 바다를 보고 신나서 덩실덩실 춤을 췄습니다. 그러자 섬 하나가 굉음을 내며 요동을 치고, 불기둥이 하늘로 솟았습니다. 그리고는 쉴 곳을 만들..
2016년 5월 15일(일) 14:00 배우란 무엇인가로 시작해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인간탐구로 이어지는 여세진 선생님의 강의가 있었다. 배우에 대한 인식과 편견의 고리에 이어져 있는 진정한 의미에 대해 같이 얘기나눴다. 그리고 우리가 배우로써 어떠한 캐릭터를 소화해야 할 때 그 기본재료(나)에 따라 변화의 과정과 깊이가 조금씩 다르다는 것에 대한 이해에 도달했다. 싱크로율 100% 여세진이 여세진을 연기할 때 가장 편하다. 우리가 물(나) 또는 우유(나)로써 고체(A캐릭터)가 되려고 할 때와 액체(B캐릭터)가 되려고 할 때 그리고 기체(C캐릭터)가 되려고 할 때는 다 다른 정도의 노력이 필요하고 시작하는 모든 재료가 다르기 때문에 우리는 각자의 방식을 연구해야만 한다. 우리는 '어떤' 사람이 아니라,..
한 걸음 두 걸음 서로에게 다가가는 길은 멀기도 멀다 우리는 매 주 친해지기 위한 사투를 벌이고 있는거나 다름이 없답니다 ㅎㅎ 연극을 하는데 있어서 그 내용을 흡수하는 전제조건에는 '친함'이 필수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번에도 작은 놀이를 준비했어요! 서로에 대한 진실 3가지와 거짓 2가지 정도는 알 게 되셨죠? ^^ '남이 보는 나'라는 이름의 초상화도 하나씩 갖게 되었구요. 다음 시간에는 이어서 자신을 그려보는 시간도 갖어볼거예요! 우리들 중에 피카소가 있다는 건 안비밀 이어서 사실쓰기, 상상쓰기를 통한 글쓰기 훈련을 했어요. 짧은 동화도 한 편 들어볼 수 있었답니다. 와우 유연한 손가락을 통해 뿜어져나올 각자의 삶 이야기가 기대되는 하루였어요. 모두의 이야기가 무대에 오를 수 있도록 우리 지금처럼 ..
20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뚝딱뚝딱 청소년공연예술창작소' 2기 발표 꿈의 무대로 가는 길 창작 글쓰기를 통해 참가 청소년들이 친구들에게, 어른들에게, 나에게 하고 싶은 꿈에 대한 이야기를 희곡화하는 시간을 갖었습니다. 와 라는 두 가지 작품이 나왔고, 발표회에는 두 가지 에피소드를 엮어 이라는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되었습니다. 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때 부모나 어른들의 공통적인 반대에 부딪치는 경험들을 나눌 수 있었습니다. 엄마도 아빠도 나를 사랑하고 나도 부모님을 사랑하는데 우리는 왜 서로의 행복을 반대하는 것만 같을까요? 그래도 청소년들은 지치지 않고 노력합니다. 나를 찾고 발견하기 위한 무모한 시도도 서슴치 않지요. 그게 바로, 어른들에게는 없는 순수한 목적의 '용기'가 아닐까요? 사진모음 공연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액션가면
- 문화놀이터 액션가면
- 토요문화학교
- 여세진
- 공연
- 서울시민예술대학
- 어린이
- 인형극
- 삶을 예술로 풀어내다
- 연기
- 디다스칼로스
- 노래
- 사당동
- 예술
- 꿈다락
- 예술교육
- 배우
- 문화놀이터
- 연극
- 창작
- 영화
- 서울문화재단
- 마을이야기공장
- 보컬
- 청소년
- 뮤지컬
- 극작
- 아시아의 영웅들
- 마을축제
- 무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